도미네이션즈 배치 공략 2탄 - 고전시대
지난 배치 공략에서 배치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철기시대 배치를 추천 하였다. 배치를 직접 만들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는 플레이어들은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기 바란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다루지 못한 배치에 대한 추가 개념을 집어 보고, 필자가 현재 사용 중인 고전시대 배치를 소개하는 시간을 갖겠다. 글 끝에 필자의 배치가 침략당하는 동영상도 첨부해 놓겠다.
2015/09/08 - [E.T.C. 도미네이션즈] - 도미네이션즈 배치 공략 1탄 - 배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철기 시대 배치 < 지난 포스팅 링크
▼ 고전시대부터는 배치를 잘하는 것으로 거의 매 방어마다 수비병 보너스를 얻을 수 있다.
배치에 대한 기본 개념 2
배치를 하다보면 그 목적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다. 방어 건물의 위치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정작 중요한 자원 건물은 내팽개치는 것이 바로 그 경우다. 아, 물론 랭커들이나 랭커가 목적인 이들은 이런식으로 하는게 맞으나, 우리는 이제 고작 고전시대, 중세시대, 화약시대 쯤에 도달했으며 자원을 모아 더 성장해야 하는 시기에 있다. 따라서 농장이나 자원 저장소의 위치에도 더욱 신경 써줘야 한다.
필자가 이런 이야기를 하는 이유는 직전 약탈 공략 포스팅에서 다룬 두번째 약탈 방식, 즉 자원만을 위한 약탈 때문이다. 이 방식의 약탈은 값싼 유닛으로 농장 혹은 자원 저장소만 터는 식으로 하는데, 문제는 이런 식으로 털릴 경우 '평화 조약'을 얻을 수 없다는 것이다. 한번만 약탈 당해야 하는데, 자원이 바닥 날 때 까지 계속 약탈 당할 가능성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자원을 쉽게 건드릴 수 없도록 분산하여 배치하고, 일부는 안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약탈 대상을 물색하다 보면 농장을 벽 외부에 몰아서 배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절대로 피해야 할 배치이다. 농장을 곳곳에 분산하여 배치하도록 하자. 몇시간에 한번씩 꾸준하게 접속하는 유저라도 잠자는 시간에 털리는 걸 생각해서 분산 배치 하는 것이 좋겠다.
추가 팁으로 약탈을 하다 보면 금덩어리가 존재하는데, 이는 캐러밴 위치에 생긴다고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 있다. 보통 캐러밴은 도로 위를 지나다니는데, 이를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결국 대부분의 금덩어리가 도로 위에 생긴다고 볼 수 있다. 농장과 마찬가지로 도로의 위치도 신경 써 줘야 한다는 얘기다. 도로는 그 특성상 마음대로 배치하기가 어렵지만, 되도록이면 안쪽으로 배치하는 것이 좋겠다.
▼ 잘못된 농장 배치. 농장이 너무 몰려 있다.
▼ 잘 분산되어 있는 농장 배치. 도로도 잘 배치하여 캐러밴이 대부분 성벽 내부에 있다.
도미네이션즈 고전시대 배치
철기시대를 플레이 하고 있었을 때는 고전시대부터 오래 플레이 하게 될거라 생각 했었는데, 막상 고전시대에 와 보니 이 또한 그리 길게 플레이 할 시대는 아니라 생각됫다. 철기시대와 마찬가지로 고전시대 배치도 여러 공략들을 참고해 따라하는 것이 시간낭비를 줄이는 길일 수도 있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는 고전시대 배치 또한 직접 만들어 봤다. 배치 하는 재미도 도미네이션즈를 플레이하는 이유 중 하나기 때문에.. 어쨌든 맨 위 사진처럼 매 방어마다 수비병 보너스를 받을 만큼 꽤 잘 만들어진 배치라고 생각 된다. 사실 평화 조약이 없어도 자원을 가득가득 채워놓지 않는 이상, 약탈 자체를 잘 당하지 않는다.
고전시대 배치 부터는 방어 건물도 많고 꽤 튼튼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배치를 잘하는 것 만으로 약탈의 스트레스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다는 결론이다. 아래는 필자의 현재 배치이다.
불가사의로 아크로폴리스와 콜로세움을 두어 방어 특성이 없는 독일 국가의 단점을 보완했다. 되도록 대칭 구도를 이루도록 설계하여 어느 방면에서 들어와도 상관없게 설계 해 두었지만, 대부분 투석기가 있는 북서쪽 방면으로 들어오는 편이다. 그래서 투석기 앞에 가시함정 두개를 모두 설치하였다.
고전시대에서 가장 중요하다 생각되는 발리스타 타워를 수비대, 마구간 사정거리에 모두 넣어 발리스타 타워를 부수러 들어온 병력을 몰살시킬 수 있는 위치에 두었다. 수비대와 마구간을 모두 아크로폴리스의 영향을 받는 위치에 놓았으며, 타워는 각각의 방향에 고루 배치되도록 노력했다.
▼ 아크로폴리스의 영향을 받는 수비대와 마구간
위에서 설명한 팁과 같이 농장을 고루 배치하였고, 도로도 외부로 많이 노출되지 않도록 벽에 붙여 배치하였다. 전사와 사수유닛들이 조금이라도 시간이 지체되도록 나머지 건물들을 외부에 빙 둘러 배치 하였다. 단점이라면 식량 저장소의 위치가 좀 아쉬운데, 여전히 벽이 부족한 고전시대에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
아래는 이 배치로 침략해 들어오는 영상이다. 투석기가 업그레이드 중이었음에도 불가하고 방어에 성공하는 모습이다. 상대의 병력 비율이 기마병이 너무 많아서 실패한 탓도 있다고 생각된다. 전사나 사수 유닛을 더 섞어 줬다면 투석기가 없었기 때문에 힘들었을 것이다.
상대국가가 중국인데, 플레이할수록 중국의 초코누는 가히 사기급이라 단정 지어 가고있다. 원거리 유닛이 건물도 잘 철거해서, 중국의 경우 전사 유닛을 섞을 필요가 없어 보인다. 중국은 특히 방어에도 좋은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중세시대에 진입하면 중국으로 국가변경을 할까 고민중이다.
'Wono Enjoy > 도미네이션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미네이션즈 고전시대 약탈 조합 추천 (2) | 2015.09.21 |
---|---|
도미네이션즈 도서관 연구 순서 추천과 설명 (1) | 2015.09.17 |
도미네이션즈 약탈 공략 2탄 - 용병, 전술, 약탈 영상 파헤치기 (1) | 2015.09.13 |
도미네이션즈 약탈 공략 - 약탈 대상 선택과 약탈 조합 (3) | 2015.09.11 |